[경제경영] 새만금 사업의 추진배경은 / 1. 새만금 사업의 추진배경은 □ 우리 조상들은 대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24 16:23
본문
Download : 새만금사업의 추진배경은.hwp
○ 농지면적은 지난 10년동안 208천ha가 감소되었고, 앞으로도 더욱 감소될 전망이므로 집단화·규모화로 생산비 절감 등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우량농지가 필요함 □ 우리나라의 연平均(평균) 강수량은 1,283mm로 세계 平均(평균)강수량 973mm보다 1.3배 많으나 강수량의 2 3가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내림에 따라 물...
[경제경영] 새만금 사업의 추진배경은 / 1. 새만금 사업의 추진배경은 □ 우리 조상들은 대
Download : 새만금사업의 추진배경은.hwp( 66 )
1. 새만금사업의 추진배경은 □ 우리 조상들은 대대로 먹거리가 부족하여...
레포트 > 사회과학계열
경제경영 새만금 사업의 추진배경은 / 1. 새만금 사업의 추진배경은 □ 우리 조상들은 대
1. 새만금사업의 추진배경은 □ 우리 조상들은 대대로 먹거리가 부족하여...
순서
설명
다. ○ 옥서 1단계(54천ha) IBRD차관을 도입, 논산 및 금강지구 시행 완료, 금강2지구는 시행중 ○ 옥서 2단계(47천ha) 김제·부안·옥구지구 → 새만금지구 □ 그 이후 새만금사업은 ’80년대 초 냉해로 인한 쌀 흉작을 계기로 논의가 본격화되어, ’80년대 중반부터 농지조성 목적으로 타당성분(成分)석, 관계부처 협의, 環境influence(영향)평가, 공유수면 매립면허 등 관련 절차를 거쳐 ’91년 착수하였습니다.





1. 새만금사업의 추진배경은 □ 우리 조상들은 대대로 먹거리가 부족하여 보릿고개라는 쓰라린 고통을 겪어왔습니다. 정부에서는 이러한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’70년대초 전국적인 간척 예정지를 조사하여 서남해안 간척농지개발계획을 수립하게 되었습니다. ○ ’68∼’69년 극심한 한발과 ’70년대 초 세계적인 식량wave 발생 ○ 간척농지개발(대상지 40만ha), 야산개발, 대단위농업종합개발(금강·평택·영산강·삽교천 등)을 국가 주요사업으로 추진 □ 새만금사업도 서남해안 간척농지조성 예정지로 선정되어 ’71년에 옥서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계획에 포함하여 추진하기로 계획되었습니다. ○ `86∼`88 경제적 타당성 분석 ○ `89∼`91 관계부처 협의, 環境influence(영향)평가, 공유수면 매립면허, 사업시행인가 등 ○ `91.11.28 공사 착수 2. 새만금사업의 기대效果는 □ 좁은 국토와 높은 인구밀도를 가진 우리나라에서 향후 10년, 20년후 집단우량농지를 포함한 28,300㏊(86백만평)의 토지자원 확보하여 지역발전과 국가이익을 위해 활용하게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