민사소송에 갈음하는 분쟁해결방식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2-11 03:30
본문
Download : 20071m_minsasoson.hwp
그리하여 오늘날 미국에서 소송에 의한 법적 해결에 대한 대안으로 대안적 분쟁해결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이 까닭이다. 후자는 소송에 갈음하는 분쟁해결제도라고 하는데, 만일 모든 민사분쟁에 대해 법원을 찾아 법적 해결에 의존한다면 큰 問題點을 야기할 것이다. 법원의 부담과중으로 분쟁해결의 지연 내지 해결방법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게 될 뿐 아니라, 때로는 법적 해결이 적합지 않은 사건에 대한 과다한 비용의 지출과 복잡한 절차로 번뇌하게 된다 따라서 소송이 통상의 분쟁해결수단으로 비현실적일 때가 많다. ①엄격한 형식․ 절차의 지양, ②법보다 조리․ 상식, ③ 직업법관이 아닌 市民의 참여 로 분쟁처리의 유연화를 특징으로 한다, 오늘날 미국에 있어서는 ADR이 소송제도 이상 널리 활용되고 있어서 “민사사법의 민영화“라고 하고 있으며, 이 경향은 독일에까지 influence을 미쳐 1991년 민사소송법 개정법률 에서는 재판의 분쟁해결의 제고를 위해 ① 변호사화해제도를 도입하고, ② 증거보전절차를 폐지하는 대신에 독자적 증거절차를 새로 채택하였다.
2. 2 법정소송담당
2. 재판상 화해
2.1 제소전 화해
Ⅲ. 조정
Ⅳ. 중재
3. 행정위원회에 의한 조정
Ⅰ. 서론





1. 조定義(정이) 의의
2. 권리관계의 주체가 아닌 자가 당사자적격을 가지는 경우
2. 3 임의적 소송담당
재판외화해 재판상화해 조정 중재 / (민사소송법)
2. 1 의의
재판외화해 재판상화해 조정 중재
레포트 > 사회과학계열
2.3 소송상 화해
Ⅴ. 결 론
다.
Download : 20071m_minsasoson.hwp( 88 )
2. 법원에 의한 조정
설명
Ⅱ. 화해
민사소송에 갈음하는 분쟁해결방식
순서
1. 재판외 화해
재판외화해 재판상화해 조정 중재 / (민사소송법)
1. 중재의 의의
민사소송은 민사분쟁해결의 유일한 수단이 아니며, 이와 더불어 그 해결수단으로 화해․ 조정 및 중재 따위가 있따 소송은 상대방의 의사나 태도에 관계없는 국가권력에 의한 강제적 해결방식임에 대하여, 화해․ 조정․ 중재는 어느 것이나 당사자 쌍방의 일치된 자율적 의사에 기한 자주적 해결방식인 점에서 소송과는 성질을 달리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