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의 인쇄文化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23 07:46
본문
Download : 우리의.hwp
이책은 조선말 서울에 근무했던 프랑스 대리공사 골랭드 뿔랑시가 귀
1. 신라시대의 인쇄술
⑴ 세계최초로 금속활자 발명
⑴ 무구정광대다라니경
「무구정광대다라니경」은 일찍이 당나라에서 신라로 전래되어 이미 성덕왕 5년(706)에 경주 황복사 석탑에 봉안된 바 있다 현재 전하는 다라니경은 1966년 불국사 석가탑 2층에서 발견된 것으로 발견당시 중간 부분까지 많이 부식 되어 있었다. 3. 조선시대의 인쇄술
2. 고려시대의 인쇄술
2. 고려시대의 인쇄술
설명
국할 때 가지고가 현재는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972년 세계도서의 해 기념행사인 책의 history 전시회에 출품되어 비로소 빛을 보게 되었다. 폭 6.6~6.7cm, 전체길이
신라시대의인쇄술 고려시대의인쇄술 조선시대의인쇄술 우리의인쇄文化 / (우리의 인쇄文化 )
순서
다. 이 다라니경이 발견되기 전에는 서기 700년경에 인쇄한 日本 의 「백만탑다라니경」이 세계최고로 알려졌으나 이제는 우리나라의 「무구정광대 다라니경」이 日本 보다 양 20년 앞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인쇄물로 밝혀 졌으며 중국(China) 최고의 목판인쇄물은 서기 868년에 인쇄한 「금강반야바라밀경」 으로 영국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
1. 신라시대의 인쇄술
레포트 > 사회과학계열





신라시대의인쇄술 고려시대의인쇄술 조선시대의인쇄술 우리의인쇄문화 / (우리의 인쇄문화 )
Download : 우리의.hwp( 17 )
「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」은 고려(1372) 백운화상이 지은 책으로 「직지심체」라고도 하며 이 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로 찍은 책이라고 1972년 유네스코에서 공인을 받게 되었다. 이 책 마지막장에는 인쇄시기(1377), 인쇄장소(청주목 흥덕사), 인쇄방법(금속활자인쇄)이 기록되어있다
신라시대의인쇄술 고려시대의인쇄술 조선시대의인쇄술 우리의인쇄문화
우리의 인쇄文化
620cm 의 목판으로 찍은 두루마리인 이불경은 김대성이 경덕왕 10년(751)에 불국사 석가탑을 세우고 이때에 탑 속에 넣은 것으로 인쇄시기는 750년 경이다.